티스토리 뷰

Dev/Spring Boot

Spring Boot 프로젝트 배포하기

자취방생활 2021. 9. 26. 21:01

안녕하세요,

 

Spring Boot로 개발한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과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시글은 Gradle 및 IntelliJ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습니다.

 

(Spring Boot를 시작한지 별로 되지않아 정보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댓글로 지적해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1. 배포 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들

 

개발 시, 설정했던 값들 (ex. DB연결 URL, 포트 번호 등) 배포용으로 전환!

 

제일 중요한 작업이면서도 깜빡하고 놓치고 있는 부분이 은근히 많은 부분입니다.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Configuraiton 파일들을 한번씩 둘러보면서

배포용으로 설정되어 있나 다시한번 확인합니다!

server:
  port: 8080
....

spring:
  datasource:
    url: jdbc:log4jdbc:mysql://localhost:3306
    username: test
    password: test
....

예시이긴 하지만 이런식으로 되어 있는 부분 모두 local 기준으로 잡혀있지 않은지 확인해 줍시다!

 

참고로,

저의 경우에는 이런 Configuration 정보들을 외부에서 참조 할 수 있도록,

resources/application.yml 설정을 바꾸어 보았습니다.

spring:
  config:
    location: currentdir/config
....

위 설정 값의 의미는,

현재 폴더 (자바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에 존재하는 config폴더에서 정보들을 가지고 온다는 뜻입니다.

 

위와 같이 작성을 하면 설정 정보들 (DB connection, Port 등)을 외부에서 따로 관리 하여,

설정 정보들이 달라져도 빌드를 다시 할 필요가 없이 해당 파일의 부분만 수정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바 어플리케이션과 configuration 파일들

위 사진과 같이 파일구조를 적용 할 수 있어 관리하기가 편해집니다.

 

그래도 설정 값들을 다시한번 확인하는 것은 변함이 없습니다!

 

 

 


 

 

 

2. 배포용으로 Build 하기

 

다른 어려운 명령어 필요 없이 IntelliJ에서는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Gradle' 메뉴

IntelliJ의 가장 오른쪽 상단을 보시면 'Gradle' 이라는 메뉴가 존재합니다.

클릭하시면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실행 할 수 있는 여러가지 메뉴들이 나오는데,

저희는 배포용으로 빌드를 할 것이기 때문에 '프로젝트명' → 'Tasks' → 'build' → 'bootJar'를 더블 클릭 해줍니다.

 

그러면 내장 Tomcat이 포함된 채로 빌드가 진행되고,

해당 프로젝트 폴더의 'build' 폴더가 생성됩니다.

 

빌드 성공

위 사진과 같이 폴더 구조가 생성되면 성공한 것입니다.

 

 

 


 

 

 

3. 자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제 빌드 된 프로젝트를 실행해봐야겠죠?

'build' 폴더 → 'libs' 폴더의 jar 파일을 실행 할 위치에 옮겨줍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실행 완료!

java -jar 어플리케이션.jar

 

간단합니다.

그리고 제대로 실행되는 log도 확인하면 끝났습니다.

 

(위의 1번에서 설정 파일을 따로 외부에서 가져오도록 설정하셨으면,

해당 설정 파일도 같은 위치에 위치시켜야 정상적으로 설정 정보들을 불러옵니다)

 

 

 


 

 

이번에는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한 사전작업들과

빌드하고 실행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